상단영역

본문영역

<기획취재> 민어울음 소리에 밤 못 들던 섬

강제윤 시인 - 옹진 백아도 기행(중)

  • 완도신문 webmaster@wandonews.com
  • 입력 2012.06.28 13:56
  • 수정 2015.11.11 10:49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미가 섬을 출타하면 처녀는 연기를 피워 청년에게 신호를 보냈다. 총각은 노를 저어 단숨에 처녀의 섬으로 건너왔다. 청년은 처녀의 몸 안으로 깊이 들어갔다. 처녀는 쾌락에 흐느끼며 몸을 떨었다. 열락에 들뜬 둘은 모래톱과 소나무 그늘, 끝내는 바다 속을 유영하면서도 서로의 몸을 탐닉했다. 외딴 섬, 적막 속에서 처녀와 총각이 지르는 교성이 하늘까지 들렸다. 그 소리가 선녀들과 열락에 빠져 있던 천신에게까지 들렸다.

천신은 자신은 수도 없이 많은 딸들, 선녀들과 쾌락 속에 살면서도 둘의 사랑은 용서할 수 없었다. 천상의 법도와 인간의 법은 다른 것. 청년과 처녀는 인간의 남매가 아닌가. 처녀는 마귀할멈이 납치해 가서 키운 청년의 여동생이었다. 둘은 그 사실을 까마득히 모르고 있었지만 세상일에 관심이 많고 간섭하기 좋아하는 천신은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게다가 천신은 보수적인 남성 신이었다.

수백의 선녀들과 나신으로 뒹굴던 천신은 남매간에 몸을 섞는 윤리의 타락을 눈감아 줄 수 없었다. 천신은 자신의 선녀를 내려 보냈다. 선녀는 두 사람을 만나 남매라는 사실을 알려주고 헤어질 것을 설득했다. 청년과 처녀는 선녀의 말을 믿을 수 없었다. 믿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이미 사랑에 눈먼 남녀에게 핏줄 따위는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남매면 어떻고 아니면 또 어떤가. 둘은 그저 서로의 반쪽을 찾은 것일 뿐. 둘은 그대로 죽더라도 헤어지지 않겠다고 선녀의 중재를 거부했다.

뒤늦게 자신의 잘못을 안 마귀할멈도 헤어질 것을 애원하며 매달렸지만 소용없는 일이었다. 선녀도 더는 어찌해볼 도리가 없었다. 하늘에서 이들을 관찰하던 천신은 자신의 명을 거절하는 두 남매에게 화가 치솟았다. 천신은 품에 안겨 있던 어린 선녀를 밀쳐내고 벼락을 손에 쥐고 마귀할멈의 섬을 향해 던졌다. 처녀도 청년도 마귀할멈도 흔적 없이 사라졌다. 그들이 살던 섬도 산산 조각이 나서 없어져 버렸다.

그리고 얼마 후 그 자리에서 세 개의 바위가 솟아올랐다. 공중에 떠서 그 모습을 지켜보던 선녀는 안타까움에 피눈물을 뿌리며 하늘로 돌아갔다. 선녀가 붉은 눈물을 흘리며 승천한 바위. 그래서 바위의 이름은 선단(仙丹)여가 되었다. 짧은 몇 마디의 전설에 나그네가 살을 입혀 본 것이다. 전설이나 설화란 본디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면서 각색되고 윤색 되는 이야기가 아닌가. 해양호가 굴업도를 지나 백아도로 향한다. 그 바다에 선단여가 있다. 나란히 선 세 개의 바위, 양 옆은 처녀와 청년의 바위고 가운데 둘 사이를 가로막고 선 것은 마귀할멈의 바위다.

 

 

어린 남매가 태어나고 청년이 자랐던 섬은 백아도였을 것이다. 바다는 아무 일 없었던 것처럼 잔잔하다. 한때는 남매였으나 이제는 영원한 사랑이 된 청년과 처녀. 전설은 마귀할멈이 죽어서도 둘 사이를 갈라놓기 위해 남매 바위의 한 가운데 자리 잡고 있다고 전해지지만 나그네가 보기에 마귀할멈은 오히려 둘을 품어 안고 보호해주는 듯이 보인다. 마귀할멈이라고 어찌 애틋함이 없었으랴. 오후 4시10분, 해양호는 2시간의 항해 끝에 백아도 학교마을 선착장에 나그네 혼자만 내려놓고 서둘러 뱃머리를 돌린다.

여객선은 타고 내릴 사람이 있을 때만 중간 기항지에 들른다. 선착장 부근에는 인가 한 채 없이 텅 빈 대합실만 달랑 외롭다. 해안 길을 따라가면 마을이 나올 것이다. 하지만 나그네는 마을의 끝을 모른다. 방파제 안에는 작은 배만 두 척. 섬의 어업도 사양길에 접어든 듯하다. 마을은 학교가 있었다 해서 학교 마을이다. 백아도에는 두 개의 마을이 있다. 섬의 서북쪽에는 부대 마을이 있는데 예전에 군부대가 주둔해 있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들은 이미 사라진 두 개의 기관 이름으로 불리지만 본래 부대마을은 큰 마을 학교마을은 작은 마을이었다. 학교나 부대 마을만큼이나 큰 마을, 작은 마을도 멋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하기는 마을이라고는 달랑 두 개 뿐이니 달리 무슨 이름이 필요했겠는가. 지금은 부대마을보다 학교마을에 집이 몇 채 더 있어서 큰 마을이 되었다. 그래봐야 노인들만 15가구 뿐이지만. 학교마을 정자나무 그늘 아래 노인 두 분이 앉아 있다. 서로 말없이 바다만 바라본다. 조금 젊어 보이는 노인은 꽃게잡이 선주와 선장 등으로 외지를 떠돌다 근자에 고향인 백아도로 귀향했다.

백아도는 굴업도와 함께 민어와 꽃게 어장으로 한 때 성시를 이루기도 했었다. 아직도 섬에 꽃게 배가 있느냐 물으니 최근에 인천의 선주 한 사람이 100톤짜리 꽃게 배 한척을 가지고 들어와 정착했다 한다. 일종의 어업 이민인 셈이다. 그 외에는 소형 어선만 두 척. “100톤이면 엄청 큰데, 그렇게 큰 배가 여기 있어요.” “아무리 커도 지고 다닐 수 있어요.” “어떻게 지고 다녀죠?” “들어서 올려만 주면 등에다 지고 다니지” 노인의 농담 속에서 짙은 페이소스가 묻어난다.

백아도, 울도 앞바다는 일제 때부터 유명한 새우 어장이었다. 그래서 덕적군도의 여느 섬들처럼 백아도 사람들도 옛날에는 새우젓을 담가두었다가 충남지방으로 나가 쌀을 바꿔다 먹고 살았다. 민어는 70년대 초까지 대량으로 잡혔지만 어느 순간 사라져 버렸다.

노인도 15톤짜리 자망배로 민어 잡이를 했었다. 그때는 민어 그물에 걸린 꽃게를 떼어서 버리는 게 일이었다. “그때는 민어울음 소리가 하도 시끄러워서 사람들이 산에 앉아서 대화를 못할 정도였어. 꽉꽉거리는 게 매미 울음소리는 저리 가라야. 그렇게 버글 댔었는데. 지금은 씨가 말랐어.” 그 후에도 백아도 앞바다에서는 80년대 말까지 민어가 더러 나기는 했지만 숫자는 미미했다.

민어가 사라진 뒤에는 떼어서 내버리던 꽃게가 귀한 대접을 받았다. 하지만 이제 섬에는 노인들만 남아 더 이상 힘든 어장 일을 할 사람이 없다. 그래서 꽃게와 새우는 모두 외지 배들이 잡아간다.

섬에서는 소형어선 2척만 우럭, 놀래미, 장어 등을 통발로 잡고 자망 그물로 꽃게를 조금 잡을 뿐이다. 90년대 말까지만 해도 인천등지의 꽃게 배들이 백아도에 정박 했었다. 노인들은 꽃게 그물 손질을 해주고 일당이라도 벌었다. 하지만 더 이상 꽃게 배들도 들어오지 않는다. 꽃게 그물이 유자망에서 닻자망으로 바뀌면서 노인들의 손으로는 더 이상 그물 손질을 할 수 없게 된 때문이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