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장보고대교 개통을 앞두고 준비할 것들

박남수(편집국장)

  • 박남수 기자 wandopia@daum.net
  • 입력 2015.10.22 01:25
  • 수정 2015.11.04 16:25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 달 전 신지 송곡 쪽의 장보고대교 공사 현장에 다리 상판을 교각 위에 올리기 위해 해상크레인 한 척이 나타났다. 며칠 후 보니 신지 쪽 교각 위로 상판이 하나 둘 올라가기 시작하더니 어느덧 다섯 개가 올라갔다. 이제 차를 타고 곧장 고금을 가는 일은 눈앞에 닥친 현실이다.

개통을 앞둔 시점에 ‘다리 개통이 꼭 좋기만 할까’와 ‘개통 이후를 대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하는 두 가지 생각을 한다.

아무런 준비 없이 완도~신지를 잇는 신지대교 개통 이후 기쁨에 들떠 있는 동안 완도읍 상권이 어떻게 쇠락했는지를 경험으로 알고 있다. 강진 마량과 고금도를 잇는 고금대교가 개통된 후에 고금•약산•금일•생일 등 동부권 주민들이 다리를 건너 강진 마량이나 멀리 광주•목포 등으로 장보러 가는 모습을 눈뜨고 쳐다보았던 쓰라린 경험이 있다.

지난 4월 1일 서울과 광주를 잇는 KTX 개통으로 서울과 광주•전남권이 1일 생활권에서 반나절 생활권으로 바뀌었다. 이에 따라 광주•전남은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변화를 겪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지역에 유리한 ‘분산효과’보다는 오히려 수도권의 강력한 흡인력으로 지방이 쪼그라드는 ‘빨대효과’가 우려되고 있다.

우리 지역도 예외일 수는 없다. 장보고대교가 개통되면 우선 동부권 주민들이 완도읍과의 접근은 지금보다 훨씬 더 편리해질 수 있다. 하지만 광주•목포 등 지역 내 대도시로의 접근성도 함께 좋아져서 완도읍보다는 오히려 고금대교를 거쳐 줄줄이 빠져나갈 확률이 매우 높고, 그로 인한 지역상권의 붕괴 등 부작용이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리 개통에 따른 지역의 교통•교육•의료•상권 등 여러 분야에 대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대책이 미리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대책은 행정기관에게만 맡길 일은 아니다. 완도읍 주민들과 상인들의 동부권 주민들을 대하는 마음자세도 달라져야 한다.

군청을 비롯한 각급 행정기관은 동부권 군내버스•택시 등 대중교통의 노선•운행횟수 및 이용요금 체계를 바꾸는 일, 약산 당목항에서 금일•금당•생일 지역을 연결하는 바닷길을 연결하는 여객선 운항 횟수를 늘리는 일, 지역마다 다른 LPG 가격의 조정 등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통일된 기준 마련과 동부권 주민들에 대한 각종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민간 분야에서도 번영회와 위생업 관련단체 등을 중심으로 동부권 지역 주민들이 완도읍의 식당•목욕탕•이미용업소 등 위생업소를 이용할 때는 일정 비율의 할인혜택을 주는 ‘쿠폰제’를 도입해 외지로 빠져나가지 않고 자연스럽게 완도읍으로 발걸음을 옮기도록 하는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오래 전부터 군정 책임자들은 섬으로 이루어진 우리 군의 특수성을 감안해 ‘군민 하나되기 운동’을 군정의 역점시책으로 선정해 나름대로 다양한 시도를 해봤지만 늘 실패했다. 지난 시절의 실패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이번에는 민관이 서로 합심하고 미리부터 단단히 준비해 장보고대교의 개통이 단순히 섬 사이의 이동 편의를 넘어서 지역의 화합과 상생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는 기회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