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민주주의 꽃이 피어나 합창할 수 있는 완도를!

[사설]민주회복운동기념비 건립과 완도 사회

  • 완도신문 wandonews@naver.com
  • 입력 2017.06.17 10:55
  • 수정 2017.06.17 10:59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완도민주회복운동기념비 건립과 관련한 잡음이 본지 보도 이후 지역 민주인사들은 물론 그들의 후손까지 공분을 사며 예산을 지원한 군청을 항의 방문하면서 군 예산의 투명성과 완도민주화과정을 바로 잡아야한다는 여론이 빗발치고 있다.

완도의 민주항쟁은 구한말 동학농민혁명부터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으로 이어져, 대한민국 건국 이후에는 독재 권력에 맞선 민주화 운동으로 진행했다. 이승만 정권을 무너뜨린 419혁명과 박정희 유신정권에 맞서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유신 정권에 반대하는 민주회복운동, 전두환의 군부 독재에 맞선 518광주민주화운동, 그리고 군부 독재를 종식시킨 6월민주항쟁으로 이어져 왔다.

지방자치가 실시 된 이후에도 지역사회의 살아 있는 권력에 맞서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완도군 지부와 완도신문의 투쟁사가 10여년 정도 펼쳐졌다.

이 부분은 논외로 치더라도 완도민주화운동은 1894년 시작된 동학농민혁명의 마지막 전투였던 장흥 석대들 전투 이후 완도의 각 섬지역으로 들어온 농민군들의 최후 항전에서부터  완도 역사 이래 가장 많은 주민들이 함께한 1987년 6월 완도민주항쟁에 이르기까지 100여년간 거대한 물줄기를 가지고 있다. 물론 나라 잃은 망국의 슬픔과 독재와 불의에 맞서 가슴 뜨겁게 불타오르던 그 순간만이 민주화의 과정이고 민주주의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결국 그러한 인식이 작금에 이르러선 완도지역에 변변한 시민단체 하나도 탄생시키지 못한 원인이 됐다.
지금에 와, 앞으로도 어떤 것이 옳으며 왜 옳은지에 대한 결론은 없다. 지금도 정치철학이나 이념 분야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논쟁이 종식되지 않았으니까. 다만 기득권화하려는, 특권의식을 가지려고하는, 불공정하고, 진실을 왜곡시키려는 지역사회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언로를 만들지 못했다는 건, 민주화를 이끈 이들에겐 성찰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행정 또한 지역민주화를 바로 세우는데 단순히 예산만을 지원하는 게 아닌, 끊임없이 대화하고 이를 확대 재생산시킴으로써 지역 화합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문재인 정부의 역사 바로세우기는 바로 이러한 일환으로 중앙정부가 하는데 자치단체가 못한다는 것은 열린 완도군정을 포기하는 일과 같다. 행정의 마중물역할을 기대하면서 진정한 민주주의란 무엇이고 어떤 모습인지 우리 모두 고민해 보자.

분명한 건 민주주의라는 영혼의 꽃을 피우는 과정은 피를 흘려야만이 가능한 것이고, 꽃이 피었다면 그 꽃들이 자유롭게 합창할 수 있는 그 풍토까지 우리 후손들에게 전해주는 것이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