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완도시민사회의 정치, 더 진화할까

차관훈·최형석·서정창·김신·정관범·박인철로 이어져

  • 김형진 기자 94332564@hanmail.net
  • 입력 2017.11.18 12:40
  • 수정 2017.11.18 12:42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90년대 이후 새로운 정부가 등장할 때마다 시민사회의 정치 참여가 사회적 이슈가 되어 왔다. 완도지역에서의 시민사회 정치 참여는 민선 1기 차관훈 군수때부터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언론인 김 모 씨는 "독재와 군부 정권과 싸워 온 완도의 민주화운동세력은 1987년 6월항쟁을 이끌면서 전두환 정권의 6·29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실현시켰다"며 "1994년 지방자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후 80년대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완도의 민주세력들 또한 대거 정치권으로 진입했다"고 말했다.

이어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차관훈 전 완도군수를 비롯해 최형석 전 도의원과 서정창 전 도의원 등이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세력이었다"고 전했다.

이후, 민주화세력의 바통은 시민사회운동을 펼쳤던 이들에게로 전해졌고, 지난 2002년도 지방 선거를 10여일 앞두고 지인과 완도시민사회의 권유로 지방 의회에 진출한 김신 전 군의원, 전국공무원노조 초대 완도군지부장이었던 정관범 군의원, 또 참여연대 완도시민회의 공동대표와 완도군 청년연합회장을 역임한 박인철 군의원 등이 시민사회와 양심세력의 힘을 받아 제도권 으로 진입했다.

지역정객 이 모씨는 "김종식 전 군수의 경우엔 지역발전에 대해 나름의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실천한 측면도 있었지만, 군정 비판에 대해서는 독선적인 측면도 있었다"면서 "이에 맞서 김신 전 의원은 군의원 본연의 비판 견제의 선명성을 보였으며 이는 역대 의원 중 가장 높게 평가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정관범 의원이 공노조 완도군지부 지부장일 때, 공직사회개혁 부정부패 추방의 깃발을 들고 완도군정의 예산낭비를 감시하고 잘못된 수의계약 문제 공무원특채 문제 편법공사발주 등을 바로잡으려는 일 또한 시민사회활동의 선명성과 함께 완도 시민사회의 90%이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고기영 전 참여연대 완도시민회의 사무처장은 "2004년 완도 핵폐기장 유치 반대 활동 당시 공동대표였던 박인철 의원 또한 우리 지역의 청정바다를 지켜내기 위해 뜻을 같이 하는 각계 각층의 사회단체 및 군민들과 연계하여 강력한 반대 운동을 전개했다"고 말했다.

현재 지역사회 활동가로 활동중인 민주민생 완도행동 김영신 대표는 "시민사회는 정부의 대척점에 위치하면서 정부에 대하여 비판적 대항 헤게모니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그러나 정부와 시민사회는 반드시 대립적 관계만 형성하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현대사회와 같이 다원화되고, 삶의 미시적인 영역에 대한 요구가 강한 시대에는 양자가 상호 협력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시민사회의 본질이란 현실에 대한 부조리를 개혁해 가는 진보운동으로써 풀뿌리 민주주의 정치에 대한 관심은 당연한 것인데, 완도의 경우엔 그 어느 지역보다도 극렬하게 타올랐던 이러한 시민운동의 명맥이 현재는 거의 소멸된 상태에 이르렀다"고 말했다.(계속)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