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해양치유, 해양생물 클러스터 꼴 나면 안돼

[사설]해양치유산업 선도 지자체 선정에 부쳐

  • 완도신문 wandonews@naver.com
  • 입력 2017.12.01 09:05
  • 수정 2017.12.01 09:13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양수산부의 ‘해양치유 실용화연구 협력사업’공모에서 완도군이 전국 네 곳 가운데 한 곳으로 최종 선정됐다.

완도군은 시범단지 조성을 위해 공공부문에서 2022년까지 연차별로 국비 433억원, 지방비 454억원을 들여 해양치유 전문인력 양성, 해양치유 제품 생산 공정 확립과 산업화 모델 개발, 지역 주민 복지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해양치유산업 클러스터(제품생산+R&D+일상+판매유통) 조성 등에 나설 예정이다. 또, 의료기관을 비롯한 민간부문에서는 1천126억원을 투자해 해조류 메디컬 제품 개발, 해양리조트 조성, 해양치유 전문병원 육성, 해양관광 개발 등에 나서게 된다.

해양치유란 해양기후, 해수, 해니(泥), 해염(鹽), 해사(沙), 해양생물자원 등을 이용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활동으로 선진국형 산업이다.

완도군은 이같은 선정을 두고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우리가 타산지석 삼아야 할 과제는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완도읍 농공단지와 신지면 명사십리 일원에 산업단지 12만평, 연구단지 2만평, 휴양단지 22만평 총 36만평의 클러스터 산업을 구축했다는 것이다.

부지 매입과 해양생물산업 기업 유치, 기능성 물지로가 신약, 휴양 등이 복합된 클러스터를 구축했지만 몇몇 기업과 사학만이 혜택을 받고 주민들의 부가가치에 있어서는 거의 무용지물이 됐다는 평가다.

이같은 문제점에 대해 서을윤 의원 또한 지난 10월 군정 질의답변시간에 "고려대가 신지에 완도 청해진 수련관의 학생 수련관과 교수동을 지어놓았는데, 이는 미끼로 지어 놓은 것이다"며 "당초 했던 약속 사항과 전혀 다른 것이며, 약속을 지키지 못한다면 땅을 내놓던지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해양헬스케어의 핵심 주체라 할 수 있는 해양치유산업 관계자는 "클러스터가 성공하려면 신약 후보물질의 도출, 임상, 판매·마케팅 등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전문업체들이 한 곳에 모여 유기적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말하며 이러한 클러스터의 경우엔 기획단계에서부터 이런 부분에 대한 고려가 지자체에겐 턱없이 부족하다고 전하고 있다.

더군다나 지자체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주민이 중심이 돼 주민들의 자발적 의지와 참여 속에서 해양헬스케어 환경을 조성하고 변화시켜 주민들이 함께 잘 살 수 있는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는 게 목표다.

과거 김종식 전 군수가 보여줬던 하드웨어식 구축으로 이번 해양헬스케어산업을 진행한다면 그 성패는 불을 보듯 뻔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