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거센 문풍과 호남 싹쓸이 그리고 ‘탄돌이’의 추억

[사설] 거대여당의 탄생과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 탄돌이들에게 배우는 국회의원의 자세

  • 완도신문 wandonews@naver.com
  • 입력 2020.04.17 09:24
  • 수정 2020.04.17 09:27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상 유래 없는 코로나19 사태 속에 치러진 21대 총선이 드디어 막을 내렸다. 28년만에 66.2%라는 최고 투표율을 달성한 이번 선거는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 163석과 민주당의 비례대표정당 더불어시민당이 17석을 얻어 총합 180석이라는 압승을 거뒀다.

광주·전남도 '문풍(文風, 문재인 바람)'과 코로나19가 광주·전남 지역 제21대 총선 이슈를 집어삼키면서 더불어민주당이 권토중래(捲土重來)한 가운데 큰 이변은 없었다. 문재인 정부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이라는 호남인의 염원이 민주당 압승으로 이어졌고, 전국적으로 코로나19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정부와 여당의 책임보다는 대안 없는 반문재인만 외치는 야당에 대한 위기감으로 전략적 투표형태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번 21대 총선은 대선에 가까울 정도의 높은 투표율을 보이며 인물과 이슈, 정책 모든 것을 집어삼켰다. 국가적 재난 상황에 국가의 역할이 커지면서 불확실성에 대한 위기감이 바람 선거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보통 선거는 인물 경쟁력보다 조직이 앞서고 바람 선거는 조직선거를 능가한다고 한다. 4년 전 국민의당이 호남에서 녹색 돌풍을 일으킨 건 정권 창출이라는 염원에서 비롯되었고 이번 총선에서 반대로 민주당이 텃밭을 탈환한 건 문재인 정부의 성공과 정권 재창출이라는 염원이 컸다고 볼 수 있다. 결국 호남에서의 투표형태는 인물보다는 정당 우위임이 다시 한번 입증된 셈이다.

그러나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난 21대 총선이 남긴 숙제는 많다. 다시 거대 양당의 구도로 돌아가 소수정당들의 존재 의미를 찾기 어렵게 된 결과를 보면 왜 패스트트랙까지 해가며 선거법을 개정했나 하는 생각이 든다. 당선 배경에는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몇 곳만 제외하고는 파란색 일색의 호남 지도와 분홍색 일색의 영남 지도는 결과적으로 지역주의의 복원을 연상케 했다. 여당의 압승에도 불구하고 국회에서는 대결의 정치가 격화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벌써부터 들려온다.

권력이 독주하면 오만해지기 마련이다. 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난 지난 지방선거와 이번 총선에서 승리한 여당 당선자들을 “문재인 대통령 인기 덕분에 당선됐다”는 뜻에서 ‘문돌이’라고 벌써부터 인구에서 회자되고 있다. 2004년 총선에서 당선된 당시 열린우리당(현 민주당) 108명의 초선 의원들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의 역풍 덕분에 당선됐다”며 ‘탄돌이’라고 불렀던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당시 여당인 열린우리당도 절반이 넘는 153석을 얻는 압승을 거뒀다.

여당 민주당의 이번 선거 승리 요인이 문풍과 코로나19 때문이기 때문에 여당 당선자들이 “문 대통령의 인기에 편승해 당선됐다”고 인식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역풍 타고 당선된 ‘탄돌이’은 독선적 행태로 많은 여론의 비판을 받았다. 이번 총선의 모든 여당 당선자들은 ‘탄돌이들’을 반면교사 삼아 지역구의 충실한, 능력있는 심부름꾼으로 역할하기를 기대한다. 윤재갑 당선자도 마찬가지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