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자유게시판

제목

[기고] 중국의 GM작물

닉네임
신혜림
등록일
2012-01-10 14:44:08
조회수
2582
첨부파일
 권순종.jpg (5305 Byte)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신혜림

shrshr@rda.go.kr

0312991163

[기고] 중국의 GM작물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권순종
2010년 현재 GM 작물을 생산하고 있는 나라는 29개국이며 1억 4,800만 헥타르의 면적에서 생산되고 있다. 미국이 전체에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서 브라질, 아르헨티나, 인도, 캐나다 순으로 상위 5개국에서 재배되는 면적이 전체에 90%를 차지하고 있다 (ISAAA: 농업생명공학 응용을 위한 국제 서비스). 6번째로 많은 350만 헥타르 면적의 GM 작물을 생산하고 있는 중국은 우리나라와 매우 가까운 나라이며 낮은 생산원가의 농산물로 우리의 시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의 경우 2008년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는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강한 정치적 의지를 보였으며 향후 35억 불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기로 하며 중국의 식량문제 해결을 생명공학 기술에 의지해야한다고 하였다. 중국은 지금까지 8개의 GM작물을 승인하였는데 그 중 주요 생명공학작물인 면화(섬유작물, Bt목화)는 1997년 승인하였고, 옥수수 (사료작물, phytase 옥수수), 벼(식량, Bt벼)는 2009년 11월에 재배 승인하였다. 생명공학작물의 경작이 세계적인 추세로 이루어 질것이라는 판단을 한 중국은 서둘러 중요한 식량, 사료 그리고 섬유의 분야에서 선발주자로 나아가려고 한다. 중국에서 이 세 작물이 갖는 잠재적 영향력은 매우 클 것이며 이들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1) Bt 면화
중국은 이미 1997년부터 성공적으로 GM면화를 생산 해왔으며 2010년에는 650만 농가에서 평균 10%의 수확량 증가와 60%의 살충제 감소함으로써 가난한 소작농들의 수입이 헥타르당 220불의 소득증가 효과를 내고 있다. 이를 연간 전국적으로 환산하면 10억 불에 해당된다. 중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큰 면화 생산국으로 전체 500만 헥타르의 69%를 차지하고 있다.

2) Bt 벼
Bt벼가 재배되면 중국은 평균 8%의 이르는 수확량 증가와 80%의 살충제 사용량 감소 효과로 연간 40억불의 이익이 창출 될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중국 전체 벼 재배 면적 3,000만 헥타르로 환산해보았을 때 헥타르 당 17kg의 증산 효과 같다. 또한 이것은 이화명나방이 만연하였을 때 감수량의 75%에 해당하는 양이다. 중국은 1억천만 농가 (1가구당 4명으로 환산 시 4억 4,000만 명)가 쌀 생산에 참여하고 있으며 논농사로 1억 7,800만 톤을 생산한다. 이들이 바로 생명공학의 수혜자가 될 것이고 13억의 소비자 역시 이러한 혜택을 받을 것이다. 중국은 이러한 기술이 가져다 줄 생산량의 증대와 식량의 자급자족에 대하여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앞으로 염분 저항성, 해충, 가뭄과 홍수 기후변화 등등 극복할 수 있는 형질전환 작물을 생각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가장 우선 목표는 효율적인 물의 사용과 가뭄 저항성이다. 중국은 인구가 16억에 이르는 2030년까지 헥타르당 7.85톤 생산량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30년에 중국은 논농사에서 전 세계 생산량인 약 7억 5,000만 톤의 1/3인 약 2억 3,500만 톤을 필요하게 된다.

3) Phytase 옥수수
중국은 1억 가구 3,000만 헥타르에서 생산되는 옥수수는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생산국이다. 주로 동물 사료로 사용되는 옥수수는 중국에서 자급의 문제와 많은 육류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돼지를 사육하고 있는 중국은 1968년에 500만 마리였던 것이 오늘날 100배 많아진 5억 마리 이상으로 늘어나 있다. 또한 1,230만 마리였던 닭, 오리 등의 가금류가 지금은 130억 마리로 증가된 상태에서 이에 들어가는 사료의 양도 엄청나게 증가된 상태이다. 또한 가축의 영양을 증대하고 동물 분뇨의 인산염에 대한 오염을 줄이게 하는 phytase의 수요에 따른 경제적 부담도 증가된 현실에서 이 phytase 옥수수의 등장은 농가의 부담을 경감 할 수 있는 대책으로 각광받고 있는 현실이다. 성장하고 있는 중국에서 빠르게 늘고 있는 부유층의 육류 소비 욕구에 결국 많은 동물사료가 소비되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현재로도 중국은 연가 10억 불 이상의 비용으로 연간 500만 톤을 수입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phytase 옥수수의 재배는 폭발적인 수요증가를 보일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의 GM작물 개발이 이와 같이 급성장하는데 비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는 GM작물 개발에 아직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까운 장래에 세계 식량 위기가 대두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GM작물 개발에 대하여 국가 정책으로서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작성일:2012-01-10 14:44:08 152.99.3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