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인력과 자본 가진 농수협, 전복파동 행정과 시장질서 참여해야

  • 완도신문 wandonews@naver.com
  • 입력 2023.10.27 09:36
  • 글씨크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들어 완도 전복 어가들은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 일본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임박했다는 소식이 들려오기 전부터 전복값은 폭락했다. 더불어 28도 이상 고수온에 취약한 전복은 여름이 오기 전인 7월 말쯤 다 팔려야 했지만, 제값을 받지 못하고 양식장에 남았다.


결국 전복 양식장 곳곳에서 집단 폐사가 발생했다. 7월 하순부터 9월 중순까지 폭염이 계속되면서 연안 수온이 평년(최근 30년)보다 1~3도 높게 유지됐다. 바닥을 모르고 떨어지던 전복 도맷값은 완도 전복 줄폐사 이후 최근 반등했지만 파산과 회생 어가가 상당수 발생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완도군의 업무보고를 보면, 다음달 30일까지 전복가두리 비우기 2030 실천 운동 추진(이행각서 징구)한다고 밝히고 있는데, 무면허 전복가두리 시설 증가에 따라 수급 불균형과 가격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복산업 활성화를 위해 무면허 및 이탈 등 불법 전복양식시설물에 대해 이행 각서를 징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속가능한 전복양식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협력 간담회가 24일 전남도 해양수산과학원 수산종자연구소에서 국립수산과학원, 전남도 해양수산과학원, 완도군, 한국전복산업연합회, 한국전복종자협회, 한국전복수출협회, 전복생산자협회, 한국전복유통협회 등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을 위한 상호 협력 방안을 토의한다는 계획.


문제는 이러한 임시 방편적인 처방으로는 2조원에 이르는 전복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고민은 전복의 적정 생산량을 통해 시장 질서를 확립하는 것이 관건인데, 완도군에선 이러한 시장 질서를 잡기 위해 1200여명의 어민과 합작해 완도전복주식회사를 창립해 운영해 오고 있지만, 타 지역의 생산량이 많아지면서 유통질서를 잡기엔 역부족인 상황에 놓였다.


이 부분은 공적자금에 대한 운용과 관리 감독권을 가지고 있는 행정의 선도적 역할만으로 힘든 상황이다. 
결국 생산자가 유통시장을 장악할 수 없다면 계속해 시장 질서의 변동성이 생산 어가를 위기에 빠뜨린다는 점인데, 여기서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팔을 걷어 부쳐야할 기관으로는 전복어가들을 실질적인 조합원으로 두고 있는 생산자 대표격인 농수협이다.


전복어가들이 계속해 자본을 잠식 당한다면 조합원을 둔 농수협의 존폐 또한 명약관화(明若觀火). 현재 전복은 내외부의 환경 변화와 증가하는 미래 불확실성에 대해 어가 스스로 감당하기엔 역부족, 결국 전복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선 어떤 기관과 단체 보다도 농수협이 나서 시장 질서를 잡는데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 


특히 산지와 소비지간 유통상 두 번의 가격이 형성되는 등 수산물 유통만의 특징이 명확했다. 그러나 다품목 소량, 온라인, 배달, 간편식 등으로 소비자의 수산물 소비행태가 점점 변화하면서 전통적인 수산물 유통만으로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기 힘들게 되었다.
행정 또한 농수협의 시장 질서 참여에 적극적으로 독려해 주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완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